제일 먼저 고려할 것
1. 위치 : 우주에서 대한민국에서 어느 도의 어느 시의 어느 동의 어느 땅에
2. 누구 : 누구와
3. 어떤 : 어떤 삶을 살 것인가
이걸 가족들과 대화를 하면서 건축가와 대화를 하면서 파악해야 한다.
내가 나를 모르는데, 남인들 당신을 알겠는가?
<건축 계획> 생각의 단계
1. 건축물을 만드는 과정 : 기획 → 계획 → 설계 → 시공 → 거주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
2. 나는 어떤 행동을 하면서 어떤 삶을 누구와 살아갈 것인데
육제적인 욕구(1차 욕구)인 밥먹고 싸고 자고 쉬는 것과 정신적인 욕구인 2차 욕구 즉, 교육, 사교, 오락을
담아 낼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
3. 기본계획
- 대지 선정 :
1) 자연적으로 고려할 것
대한민국의 어느 위치에 지을 건지, 햇빛은 얼마나 취할 수 있는지, 바람을 얼마나 들어오게 할 건 지,
지반은 물이 고이는지 강한지, 경사는 얼마나 되는지
2) 인문사회적으로 고려할 것
교통, 근처에 편의시설, 법적으로 적합한지
- 배치 : 동서 방향의 인근 건물과의 간격 / 남북 방향의 인근 건물과의 간격 (인동간격)
4. 평면계획 : 건물이 동서남북 중 어느 곳을 바라 볼 것인지, 가족들 방, 작업 방, 거실 등 각 방들을 어느 방위에
위치 시킬 건지, 각 실들을 어떤 동선으로 이을 것인지 생각을 해야 한다.
zoning : 건물 안에서 각 실별로 위치를 잡는 계획
5. 세부계획 : 집의 구성 요소인 1그룹 : 현관&복도&계단&거실 / 2그룹 : 식당 & 부엌 / 3그룹 : 침실 /
4그룹 : 욕실&변소 의 세부적인 계획
1) 각 실별로 동서남북 중 어디에 위치
2) 고려 사항은 각 실별로 가로x세로x높이의 크기
3) 각 실 안에 필요한 필수 가구는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각 실 안에서도 벽과 가구 사이의 간격을 생각
위에서 보면 알겠지만 지구 → 한국 → 도 → 동 → 땅 → 집(해를 어느 방향으로 볼지) → 각 실 의 순서로
카테고리화 하여 계획을 한다.
6. 디자인 : 스스로 스케치업을 못하면 건축사 사무소에 맡기면 된다. 그러면 안 무너질 구조로 건축 디자인을 해준다
7. 계획표 : 건물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
땅 고르고 기초 콘크리트를 치고 그것을 발판 삼아 그 위에 골조를 세우고 겉에 껍데기를 붙이고
내부 껍데기를 붙이고 건물에 각종 배관과 전기를 심어주는 과정을 언제부터 언제까지 며칠 씩 할 것인지
계획을 세워본다.
8. 자금표 : 돈은 어디서 빌려와서 어떻게 갚아갈 건지 / 자재는 어디서 사올 것인지 등등 도 체크한다.
계획이 끝나면 이제 액션을 취하는 단계.
업자를 선정하고 실제로 지어야 하고 돈도 줘야 한다.
<건축 시공> 실행의 단계
1. 건축 시공의 의미 : 기능, 구조, 미의 3요소를 갖춘 건축물을 최적 공비로 최적기간 내에 짓는 기술
2. 건축 공사 관계자
1) 건축주
2) 설계자
3) 감리자
4) 관리자
3. 도급자
1) 원도급자 : 건축주와 직접 도급 계약을 맺은 시공업자
2) 재도급자 : 원도급업자가 전부를 건축주와 관계 없이 다른 사람에게 도급 주는 것
3) 하도급자 : 도급 공사를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제3자에게 도급 주어 시행하는 것.
4) 재하도급자 : 하도급을 받은 사람이 또 하도급을 주는 것
* '건설산업기본법'상 금지 사항 : 재도급, 재하도급, 전면하도급 / 하도급만 허용!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_Black Quail House (1) | 2021.08.13 |
---|---|
슈퍼밴드의 김예지 팀이 부른 가수 Will Jay의 House I used to call home 을 듣고 떠오른 '세상에서 가장 경이로운 집'의 스위스편 농부할아버지 (0) | 2021.08.13 |